안녕하세요 카박사입니다!!

비올 때 운전을 하다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들곤 합니다.
'비가 많이 오는데 와이퍼 속도가 왜이렇게 느리지?'
'비가 조금밖에 안오는데 와이퍼를 더 천천히 작동시킬 순 없을까?'
'와이퍼는 빗물을 어떻게 인식해 속도를 조절할까?'
오늘은 이 모든 질문들과 연결된
레인센서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인센서(Rain Sensor)란?
레인센서는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되어
빗물의 양을 감지해 와이퍼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꽤 오래 전부터 자동차에 적용된 편의사양으로,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돕고 있죠.
레인센서의 작동 원리
레인센서는 차량 전면유리 내측에 부착된
'광학센서'입니다.
와이퍼모드를 AUTO로 설정하면
이 센서는 적외선을
유리창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쏘아보내고,
그 빛이 다시 반사되어 돌아오는 양을 분석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원리는
유리에 빗방울이 맺히면
반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든다는 사실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레인센서는 유리창 위의 수분 량을 판단하고
와이퍼의 작동 유무와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정말 똑똑한 기술이죠?
레인센서의 특징
레인센서는 단순히
빗방울의 유무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강수량, 빗방울의 크기, 낙하속도
까지도 분석합니다.
덕분에 빗방울이 굵어지거나 많아지면
와이퍼가 알아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죠.
특히 직경 0.4mm의
아주 작은 빗방울도 감지할 수 있으며,
투과율을 스스로 보정하도록 되어있어
썬팅,틴팅 등으로 유리의 투과율이 달라지더라도
알아서 상황에 맞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일부 고급차량에서는
레인센서가 헤드램프와 연동되어
비오는 날 시야확보를 위해
헤드램프가 자동으로 켜지기도 한답니다.
레인센서가 고장나면,,
레인센서가 고장나면
비 오는 날 와이퍼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때는 당황하지 말고
수동 모드(Low 혹은 High)로 작동시키면 됩니다.
레인센서가 고장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1) 레인센서 유닛에
습기와 먼지가 함께 들어가거나
2) 전면 유리를 너무 세게 닦거나
세차 시 고압수로 인해
센서 쪽 실링이 약해져
정확한 빛반사를
감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가 있다고 합니다.
레인센서는 강수량에 맞춰
자동으로 와이퍼의 속도를 조절해주는
스마트한 장치입니다.
언제부턴가 당연한 보조장치가 되었지만
없으면 상당히 불편한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었죠.
웬만하면 잘 고장나지 않는 부품 중 하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조심히 다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레인센서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About Mobility🚎🚒🚚 > 🧠모빌리티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배터리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ㅣ(feat.LFP, NCM, NCA, 전고체) (8) | 2025.04.14 |
---|---|
무선 안드로이드오토,애플카플레이 적용 차종 l (feat. 아이오닉9, AAWireless, 메이튼 오토프로) (10) | 2025.04.01 |
HDA 주행 시 차선 변경 방법 l (feat. LCA, LKA, 차로 변경 보조) (6) | 2025.03.31 |
천사의 울음소리, 렉서스 LFA ㅣ (feat. 배기음 튜닝, 야마하) (6) | 2025.03.30 |
전기차, 꼭 전용 타이어를 써야 할까? ㅣ (feat.차이점,전비) (21)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