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카박사입니다!!
요즘 매우 핫한 영화 중 하나이죠.
"F1 더 무비"를 보다가
유독 많이 들리는 단어가 있었습니다.
바로
락업(Lock-up)
인데요.
영화속에서 드라이버와 엔지니어가 긴박하게
"타이어 락업이 발생했다"고 말하는 장면을 보며,
F1에서는 굉장히 쉽게 발생하는 현상이구나 싶었습니다.
사실 일반적인 승용차를 타는 우리에게는
잘 접해지지 않는 용어이지만,
모터스포츠에서는 자주 등장합니다.
오늘은 락업이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
발생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락업(Lock-up)이란 무엇일까?
락업이란 바퀴가 도로위에서 미끄러지며
회전이 멈추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타이어가 잠겨버리고(타이어 멈춤)
그대로 미끄러지는 상태로가 할 수 있죠.
(브레이크>타이어접지력)
자동차가 달릴 때 바퀴는 항상 회전하며
노면과 마찰을 유지해야 하는데,
제동력이 너무 강해져서 회전이 멈춰버리면
마찰이 '구름 마찰'이 아닌 '미끄럼 마찰'로 바뀌게 됩니다.
이 순간 제동 효율이 오히려 떨어지고
타이어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F1 경기에서는 이 현상을 락업이라고 부릅니다.
락업은 언제 발생할까?
락업은 주로 급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았을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F1 드라이버가 시속 300km로 달리다가
갑자기 코너에 진입하기 위해 급제동을 걸면,
타이어가 노면의 마찰 한계를 초과해 버릴 수 있습니다.
이때 락업이 발생해 타이어가 순간적으로
'스르륵' 미끄러지며 흰 연기가 나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갈려서나는 연기)
마찰력이 너무 강하거나 한쪽이 멈추면 물체가 잘 미끄러지는데요.
비유하자면, 달리는 자전거의 페달을
갑자기 역으로 밟아서 바퀴를 강제로 멈추게 하면,
자전거가 삐끗거리며 앞으로 밀려나가는 것고 같은 원리입니다.
락업도 타이어가 회전을 멈추고
노면 위에서 '스키 타듯' 미끄러지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수 있습니다.
락업이 발생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락업이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제동거리가 길어집니다.
- 타이어가 '플랫 스팟(Flat Spot)'이라는 마모현상을 겪어 진동과 소음이 심해집니다.
- 차량 조정성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F1에서는 락업이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 수 있습니다.
한번의 락업이 발생할 때마다 0.X초씩 기록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되면 원치 않는 타이어 교체를 해야하고,
이는 곳 시간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죠.
일반 승용차에서는 락업이 없을까?
우리가 일상에서 타는 승용차는
사실 락업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요즘 차량에는 ABS(Anti-lock Brake System)라는
잠김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ABS는 브레이크를 순간적으로 초당 수십번 풀었다 조였다 하며
타이어가 잠기지 않게 조절해줍니다.
브레이크는 한번에 꾹 밟지 발고
세번 나눠서 밟으라는 말도 이 원리와 비슷합니다.
락업을 피하는 방법
락업을 피하기 위해
F1 드라이버는 브레이킹 포인트와 브레이크 압력 조절을 통해
락업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우리와 같은 일반적인 운전자라면,
급제동을 피하고 ABS의 작동을 믿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자동차의 락업 현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궁금하신 사항 있으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About Mobility🚎🚒🚚 > 🧠모빌리티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우인, 토우아웃에 대해 알아보자 (feat. 바퀴가 저절로 움직인다?) (4) | 2025.06.16 |
---|---|
2차전지, 왜 1차가 아니라 2차일까? ㅣ (feat. 1차전지, 3차전지) (8) | 2025.05.03 |
강수량을 인식해 와이퍼속도를 조절하는 레인센서의 원리 (3) | 2025.04.14 |
전기차 배터리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ㅣ(feat.LFP, NCM, NCA, 전고체) (8) | 2025.04.14 |
무선 안드로이드오토,애플카플레이 적용 차종 l (feat. 아이오닉9, AAWireless, 메이튼 오토프로) (1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