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에서 장거리 운전을 자주 하시는 분이라면
HDA(Highway Drivr Assistant,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을 정말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하지만 HDA 기능을 켰을 때 차선 변경하는 방법을 정확히 모르시거나 속도가 느려 답답해하시는 분들이 많죠.
저 역시 처음에는 이 기능을 쓰면서 "차선 변경이 안되는 조건인가?" 하고 당황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DA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차선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답답했던 점과 제가 직접 경험한 팁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HDA(고속도로 주행 보조)란?

HDA(Highway Driving Assist) 기능은 고속도로 주행 시 차선을 유지하고 앞차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중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 반자율 주행을 돕는 기능이죠.
하지만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차량이 차선을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해져서 직접 차선 변경을 시도할 때 스티어링휠에서 약간의 저항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HDA를 켠 상태에서 어떻게 차선을 변경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2. LKA와 LCA
*LKA(Lane Keeping Assist)
: 차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조향을 보조하는 기능

*LCA(Lane Change Assist)
: 운전자가 주행 중 차선을 변경할 때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
참고로 이 기능은 HDA2 패키지에 포함되어있습니다.

3. HDA 기능을 켠 상태에서 차선 변경하는 방법
(1) 차로 변경 보조 기능(LCA)가 없는 경우
이 때는 우리가 평소에 차선 변경을 하는 경우와 똑같이 차선변경을 하시면 됩니다.
- 차선 변경할 방향의 방향지시등을 켭니다.
- 스티어링휠을 부드럽게 원하는 방향으로 돌립니다.
- 차선 변경이 완료되면 방향지시등을 끕니다.
Tip: 차선 변경 시 갑자기 핸들을 과격하게 돌리면 HDA 기능이 일시적으로 해제될 수 있습니다. 부드럽게 조작하세요!
(2) 차로 변경 보조 기능(LCA)이 있는 경우
만약 차량에 LCA(차로 변경 보조) 기능이 있다면 더욱 편리합니다.

LC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 먼저 당연히 HDA 모드가 켜져야겠죠?
- 주행 중 방향지시등을 켭니다.
- 이때 내 차 옆라인 가까운 곳에 차량이 없고, 안전한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 방향지시등을 켠 후에 바로 차선변경을 하지 않는다고 당황해하지 마세요. 조금 기다리면 안전한 상황인지 파악 후에 차선이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 차선 변경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방향지시등이 꺼집니다.

Tip: LCA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차량의 설정에서 해당 기능을 켜야 합니다.
4. 자동 차선 변경.. 이게 자동 맞아???
정말 아이러니한건,
분명히 '반자율주행'이고, 차선변경을 도와주는 기능인데 이상한 제한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핸들을 잡고있어야 한다는건데요.

'잡고있다'는 것은 '핸들에 압력이 가해진다'는 거고,
핸들이 자동으로 돌아가려고 해도 내 손의 하중이나 압력때문에 자동으로 돌아가는것 처럼 느껴지지가 않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법규에 의한 것인데요. 이 때문에 현대/기아/제네시스를 포함한 벤츠/BMW/아우디 등 독3사도 모두 어색하게 차선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예외는 바로 테슬라인데, 테슬라는 한미 FTA 덕분에 미국에서 인증을 통과한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별도의 법규인증 없이 핸들을 잡지 않아도 차선을 변경할 수 있어 다른 브랜드 대비 훨씬 자율주행처럼 느껴지는 것이죠.
(연간 판매량이 2만 대 이하의 차종의 경우, 미국에서 인증을 받을 시 별도의 국내인증이 필요 없다)
이건 기술력의 문제라기보다는 법규의 문제라 자동차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저로써도 굉장히 안타까운 일입니다.
5. 차선 변경이 안 될 때 체크할 사항
HDA를 켠 상태에서 차선 변경이 잘 안 된다면, 다음 사항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 차량 설정에서 '차로변경보조(LCA)' 기능이 있는지 확인할 것!! (HDA2 패키지에 포함되어있다)
- '차선유지보조(LKA)'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체크 (LKA가 켜져있어야 작동함)
- 주변에 차량이 너무 많은건 아닌지 확인할 것
6. HDA 사용 시 꿀 Tip!!
(1) 차선 변경 전에 가속 페달을 살짝 밟아주세요
HDA가 켜진 상태에서는 차량이 가속을 자동으로 조절하지만, 차선 변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가속 페달을 살짝 밟아주면 더 부드럽게 차선을 바꿀 수 있습니다.
(2) 솔직히 그냥 일반 차선변경처럼 하는게 속시원합니다.
답답하신 분들은 HDA가 켜져있는 상태에서 그냥 일반적으로 차선 변경하듯이 직접 휠을 돌려서 차선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저도 이게 더 편하더라구요..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차선변경보조가 의미가 없음 ㅠㅠ
(3) HDA의 작동 조건 확인!!
HDA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만 작동합니다. 따라서 일반 도로에서 작동하지 않는 것은 정상입니다.
HDA 기능을 활용하면 장거리 운전이 훨씬 편해집니다.
하지만 HDA 기능을 켰을 때 차선 변경하는 방법을 모르면 오히려 불편할 수 있고, 방법을 안다고 하더라도 아직 익숙치가 않을 경우 차선을 직접 변경하는게 더 즉각적이고 편리할 수 있습니다.
아마 우리나라 규제가 풀리면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여러분도 HDA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해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About Mobility🚎🚒🚚 > 🧠모빌리티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 안드로이드오토,애플카플레이 적용 차종 l (feat. 아이오닉9, AAWireless, 메이튼 오토프로) (8) | 2025.04.01 |
---|---|
천사의 울음소리, 렉서스 LFA ㅣ (feat. 배기음 튜닝, 야마하) (6) | 2025.03.30 |
전기차, 꼭 전용 타이어를 써야 할까? ㅣ (feat.차이점,전비) (21) | 2025.03.28 |
한계를 시험하다 '르망 24시' l (feat.규칙,역사,현대자동차,포드v페라리) (0) | 2025.03.26 |
일반유vs고급유 차이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ㅣ (feat.터보엔진) (2) | 2025.03.23 |